본문 바로가기

OS

[Linux] IP세팅

출처 : http://blog.empas.com/holyjohn/18932298

Run Level Process
0 시스템의 Shutdown,halt.
1 1인 관리자 모드(Single 모드).
2 멀티유저 로컬 프로세서 데몬.NFS
3 멀티유저 리모트 프로세서 데몬 (일반적인 상태).
4 싱글유저 스테이트 (root만 접속가능) 단 root 화일 시스템만 보임.
5 X 로그인
6 리부팅(reboot).

종료방법
#init 0
#telinit 0
#shutdown -i0 -g0 -y (일반적인종료)
#shutdown -h 종료후 halt 상태로
#shutdown -r 리부팅.
#init s 싱글상태로 전환
#reboot (리부팅)

NetWork Configuration
#ifconfig -a -인터페이스 점검.
( ping telnet traceroite nslookup dmesg netstat -nr )

/etc/init.d/network restart (start,stop)

1. 호스트네임,게이트웨이설정.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HOSTNAME=localhost.localhost
GATEWAYDEY=eth0
GATEWAY=192.168.1.1


2. 네트웍 인터페이스 설정.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DEVICE=eth0
BOOTPROTO=none (dhcp)
BROADCAST=192.168.1.255
IPADDR=192.168.1.5
NETMASK=255.255.0.0
omBOOT=yes

3.DNS서버주소
/etc/resolv.conf
search servername.org
nameserver 192.168.1.1
nameserver 192.168.1.5

4.호스트alies
/etc/hosts
127.0.0.1 localhost.host localhost
192.168.1.5 localhost

5.호스트명선행처리
/etc/host.conf
order hosts,bind

# /etc/nologin 접속금지 메세지 설정 (존재하면 접속 불가)
접속이 금지됩니다. 담에 다시 접속해 주세요.

#free - 사용중인 메모리양
/etc/issue.net 파일 (telnet login 시에 보여지는 파일)
/etc/motd 파일 (login 후에 환영메세지)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1 <- (ping 응답 안하게 설정, default 0 )
※ 리눅스에서의 네트워크 장치 이름

랜카드 장착시 -> '/dev/eth0' , '/dev/eth1' , ...


☆ Gateway , Router
※ 게이트웨이 를 별도로 추가시
# route add default gw <게이트웨이 주소> dev <장치 이름>
예) # route add default gw 192.168.184.254 dev eth0

☆ Net Mask & Class
- 넷마스크 : 네트워크의 규모를 등급별로 결정함.
- C 클래스 : 256개의 IP주소 사용가능
예) 네트워크 주소 : 192 . 168 . 184 . 0
넷마스크 주소: 255 . 255 . 255 . 0
-B 클래스 : 65536개의 IP주소 사용가능 ( 2^16 )
예) 네트워크 주소 : 192 . 168 .0 . 0
넷마스크 주소: 255 . 255 .0 . 0
-A 클래스 : 2^24 개의 IP주소 사용가능
예) 네트워크 주소 : 192 .0 .0 . 0
넷마스크 주소: 255 .0 .0 . 0
※ 설치 가능한 컴퓨터 갯수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 캐스트 주소, 게이트 웨이 주소 3개를 제외한
갯수의 컴퓨터를 네트워크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C클래스의 경우 256-3 = 253대)

☆ DNS 서버 주소
- URL을 해당 컴퓨터의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 컴퓨터의 주소
- 설정 파일 : /etc/resolv.conf
------------------------------------
........
Default Server : ***** // DNS 제공자
nameserver < ***.***.***.*** > // 해당 DNS 서버 IP
........
------------------------------------

☆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 system-config-network
- 네트워크 연결방식을 DHCP 클라이언트 또는 고정 IP 주소를 사용할지 결정
-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게이트웨이 정보
- DNS 정보
-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 장치 (eth0) 설정
ⓑ # system-config-network-tui
- Text User Interface : 네트워크 설정의 텍스트 모드
ⓒ # service network restart
- 네트워크 설정 변경후 변경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 # ifconfig < 장치 이름 >
- 해당 장치의 IP 주소 설정 정보를 출력
ⓔ # nslookup
- DNS 서버작동 테스트
ⓕ # ping
- 네트워크에 응답 테스트

☆ 네트워크 설정 변경 관련 파일
/etc/sysconfig/network // 기본 정보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eth0 에대한 정보 몽창..
/etc/resolv.conf // DNS 서버정보 및 호스트 이름 정보

☆ 네트워크 카드 교체
- 실제로 네트워크 카드에 문제가 발생시 적용시킬수 있다.
1. 네트워크 카드를 제거.
2. 네트워크 카드를 새로 장착.
3. root 로 부팅~
4. # system-config-network
5. "하드웨어" 탭 → 'eth0' 지우기
[새로만들기] → 하드웨어 타입 'Ethernet' 선택
→ <네트워크 아답터 설정 창> → 아답터 'AMD PCnet32' 선택
6. "장치" 탭 → [새로만들기] → '이더넷 연결' 선택 → 'AMD PCnet32' 선택
→<네트워크 셋팅 설정 창> → '정적으로 설정된 IP 주소들' 선택
→ 네트워크 정보 입력
7. "DNS" 탭 → DNS 주소 확인
8. 완료 (창닫기 or 메뉴 [파일]-[끝내기] 선택)
9. # service network restart // 서비스 재시작
10. # ping www.google.co.kr // 응답확인
11. # ifconfig eth0 // 네트워크 설정 확인

☆ 네트워크 설정 - Text Mode
# vi /etc/sysconfig/network // 확인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다음 사항을 수정한다.
----------------------------------------------------
..............
NETMASK = *** . *** . *** . *** // 넷마스크
IPADDR = *** . *** . *** . *** // IP 주소
..............
GATEWAY = *** . *** . *** . ***// 게이트 웨이 주소
..............
----------------------------------------------------
# service network restart

☆ 네트워크 설정 - Command Mode
# ifconfig eth0 <IP 주소> netmask <넷마스크> broadcast <브로드캐스트 주소> up
# route add -net <네트워크 주소> netmask <넷마스크> eth0
# route add default gw <게이트웨이 주소> dev eth0
# vi /etc/resolv.conf // DNS 설정
# service network restart

※ 인터넷이 잘 안될때 , DNS 서버 고장을 의심해보자

ⓐ DNS 서버 작동 확인하기
# nslookup
> server // 사용중인 DNS 서버 주소확인, "Default server :" 이후에 나오는 주소가 DNS주소
> www.google.co.kr
;; connection timed out; no servers could be reached
위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온다면 DNS 서버가 고장나거나, DNS 서버의 주소가 잘못된것.

ⓑ다른 컴퓨터에서 DNS 주소 따오기
windows 인경우 : cmd 창에서 'nslookup' 명령으로 DNS 주소 획득~
linux 인 경우 : 위ⓐ방법으로 확인

ⓒ 가져온 DNS 주소 확인하기
# nslookup
> server <새로운 DNS 주소>
> www.google.co.kr // DNS 서버 작동 확인

ⓓ 정상 작동하는 DNS 주소 적용하기
# vi /etc/resolv.conf // 'nameserver' 부분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