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3) 썸네일형 리스트형 SQLCA(SQL Communication Area) SQLCA(SQL Communication Area) 데이터베이스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호간에 여러가지 정보를 얻는 구조체 SQLCA 구조체 (SQL Communication Area) struct sqlca { /* ub1 */ char sqlcaid[8]; /* b4 */ long sqlabc; /* b4 */ long sqlcode; struct { /* ub2 */ unsigned short sqlerrml; /* ub1 */ char sqlerrmc[70]; } sqlerrm; /* ub1 */ char sqlerrp[8]; /* b4 */ long sqlerrd[6]; /* ub1 */ char sqlwarn[8]; /* ub1 */ char sqlext[8]; }; sqlcaid SQL .. Dynamic SQL의 사용 Dynamic SQL의 사용 보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SQL문이 확정된 후 프로그램에 적용한다. 그러나, 다이나믹 SQL의 사용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거해서 SQL문이 작성되거나 다른 STATIC SQL문의 결과에 의해서 SQL문이 생성되는 경우 다이나믹SQL을 사용하게 된다. 비교될 컬럼이 변경되는 경우(WHERE절), 참조할 테이블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INSERT, UPDATE시의 컬럼이 변경되는 경우이 있다. Method SQL문 1 QUERY문이 아니면서 호스트 변수가 없는 경우 2 QUERY문이 아니면서 호스트 변수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 3 호스트 변수와 SELECT컬럼이 정해진 QUERY문인 경우 4 호스트 변수와 SELECT컬럼이 정해지지 않은 QUERY문인 경우 < M.. SQL문 기본 SQL문 기본 데이타베이스에서 데이타를 질의한다.(Select) 데이타를 입력(Insert), 수정(Update), 삭제(Delete)한다. 데이타 구조를 생성(Create), 수정(Alter), 삭제(Drop)한다데이타 액세스를 조절한다(Grant) SQL문의 종류 SQL문의 종류에는 DDL(Data Definition Language테이블/데이타의 구조를 조작하는 명령) DML(Data Manupulation Language : 데이타를 조작하는 명령) Session Control(세션을 제어하는 명령) System Control(시스템을 제어하는 명령) Transaction Control(트랜잭션을 제어하는 명령) 등이 있다. (아래 표 참고) Data Definition Data Manupulat.. 이전 1 다음